리버티게임:토론란/게임 제작 접근성 관련 토론
발의
이곳에서는 게임 제작의 접근성을 낮추고 양질의 게임을 만드는데 필요한 체계를 만들기 위해 토론하는 곳입니다.
현재 다음과 같은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 자바스크립트 게임 엔진 및 IDE 도입
- 포상 제도 도입
- 자매결연 위키인 리버티책과의 연계
참고로 나무위키의 백괴게임 문서에 들어가보면 아시겠지만, 백괴게임의 침체의 원인으로는 저연령층 유저 중심으로 돌아가는 특성과 미디어위키 및 자바스크립트의 높은 입문 난이도의 결합이 꼽힙니다. 그래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게임 제작의 접근성을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게임 엔진 및 IDE 도입
먼저 자바스크립트의 낮은 접근성과 높은 개발 난이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게임 엔진 및 IDE 도입을 논의하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해 미디어위키에서 게임을 만드는 것은 상당히 높은 질의 게임 제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런 게임이 많을 수록 엄청나게 사이트의 인지도가 올라가겠죠. 그러나 현재의 자바스크립트 게임 제작법은 미디어위키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알고 프로그래밍 지식이 있어야 하며 결정적으로 제작 기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상쇄하기 위해 게임 제작을 도와주는 게임 엔진과 통합 개발 환경(IDE)을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현재 GDevelop이라는 게임엔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우선 게임 엔진이 상당히 단순하고 IDE를 제공하여 프로그래밍 관련 지식 없이 오브젝트에 설정할 값을 주는 것만으로도 게임 제작이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윈도우용 프로그램과 자바스크립트로 게임 내보내기를 할 수 있어 해당 게임 엔진이 도입될 경우 리버티게임의 유저가 원하는 게임을 제작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언리얼 엔진이나 Babylon.js 같은 일부 게임 엔진 및 라이브러리도 HTML5 게임 제작을 지원하지만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웹어셈블리를 사용하거나 컴퓨터 그래픽스 관련 지식을 알아야 하는 등 미디어위키의 특성과 맞지 않은 경우가 많아 현재로서는 GDevelop 도입이 최선이라고 여겨집니다.
해당 게임 엔진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한글화: 이 게임 엔진의 단점이 한글로 된 UI와 설명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미성년자가 많은 리버티게임 특성상 한글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업로드: Pixi.js 등의 런타임 모듈을 대규모로 미라헤즈에 문서로 업로드하고 Common.js 수정을 통해 해당 모듈을 작동시켜야 합니다.
- 리버티게임 파일 저장소와의 연동: 게임 엔진을 도입할 경우 CORS 문제로 인해 이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이 같은 위키 서버 내 파일 저장소로 한정됩니다.
제작진은 저를 주축으로 구성할 것이며 개발 기간은 1~2년 정도로 잡고 있습니다. 이에 관해 어떤 과정으로 도입을 할지 관련 토론을 해당 단락에서 나누어 주시면 됩니다.
포상 제도 도입
이건 그냥 제 돈지랄을 위해 게임 제작에 동기부여를 하기 위해 제가 계획 중인 것입니다. 현재 저는 리버티게임에 월당 10만원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고 그중 7~8만원 정도가 광고비로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남은 2~3만원을 기프티콘 증정 등의 포상 제도를 운영함으로써 리버티게임의 게임 제작자를 지원하고자 합니다.
어떤 포상 제도가 적절할 지 해당 단락에서 토론을 나누어 주시면 됩니다.
자매결연 위키인 리버티책과의 연계
현재 청송님과 Regurus님이 막 리버티책이라는 위키를 미라헤즈에 열어 문학작품 창작을 하고 리버티게임과의 연계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그런데 원 모델이 되는 백괴책조차 백괴사전이나 백괴게임에 비해 컨텐츠 구상이 어렵고 인지도가 낮았었는데, 신생 위키인 리버티책이 어떨지는 안 봐도 비디오죠?
그래서 리버티게임의 게임들 중에서 문학으로 쓰면 모를까, 게임으로 만들면 좋은 평가를 받기 힘든 어드벤처/도시 및 마을 생활/교통 기행 게임을 리버티책의 목표에 맞추어서 먼저 리버티책의 문학 세계관으로 바꾼 다음, 충분한 컨텐츠와 설정이 잡히면 그때 게임으로의 포팅을 리버티게임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통해 질을 높이면 리버티책은 컨텐츠 확보, 리버티게임은 양산형 게임 제작 억제라는 쌍방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기준을 가지고 게임을 리버티책으로 보낼지, 충분히 확장된 세계관을 가진 문학작품을 게임으로 포팅할 때 어떤 지원을 할지 해당 단락에서 토론해주십시요.
--Senouis (토론) 2020년 6월 29일 (월) 12:53 (KST)
게임 제작을 돕고 피드백하는 공간 신설
- 제곧내입니다. 신규 사용자들 중 자신의 게임이 어떤 정도인지 알고 싶거나, 혹은 (스토리형)인물/사건/배경 중 일부를 만드는 데, (기술형)게임 시스템을 만드는 데 도움을 받고 싶거나 하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사용자들을 돕고 게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게임 제작을 돕고 피드백하는 공간을 신설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Regurus (토/기) 2020년 6월 30일 (화) 20:12 (KST)
토론
자바스크립트 게임 엔진 및 IDE 도입
- 한글화는 en-5 인 제가 책임지겠습니다. --Cheongseong9473 (토론) 2020년 6월 29일 (월) 19:49 (KST)
- 그리고 제가 Python으로 네이버 파파고 API를 이용한 자동 변역 프로그램도 한번 개발해 보겠습니다. --Cheongseong9473 (토론) 2020년 6월 29일 (월) 20:14 (KST)
- 참고로 RPG 게임은 RPG Maker mv라는
일본산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쪽도 pixit.js같은 거를 쓰니까 업로드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Cheongseong9473 (토론) 2020년 7월 4일 (토) 21:05 (KST)
포상 제도 도입
- 일단 제가 생각하는 포상은 4단계가 있습니다. 1단계가 금액이 가장 낮고 4단계가 가장 높습니다. 한 번 보시죠.
단계 | 조건 | 보상 |
---|---|---|
1 | 10명 이상 '죽여준다' 평가 | 5천원 |
2 | 20명 이상 '죽여준다' 평가 | 1만원 |
3 | 특집 게임 후보 선정 (자기 자신이 선정하는 것은 안됨) | 2만원 |
4 | 특집 게임 선정 | 3만원 |
--Cheongseong9473 (토론) 2020년 6월 29일 (월) 20:20 (KST)
- 저는 포상 제도에는 반대하는 의견입니다. 그 이유로는, 1)비영리에 위배될 수 있다는 점 2)다른 위키에서 시행하고 있지 않은 점 3)제안자님의 자금 사정이 악화될 경우 미래가 불투명해진다는 점이 있습니다. 나무위키, 위키백과, 디시위키, 리브레는 포상 제도 없이 유저가 잘 정착한 것으로 압니다. --Regurus (토/기) 2020년 6월 30일 (화) 20:07 (KST)
- 1의 경우 이익이 생길 정도로 주지만 않으면 제한적으로나마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걸 위해 한 사람이 1년간 받을 수 있는 액수에 충분한 제한을 걸면 될 것입니다. 2의 경우 리버티게임 같은 창작 위키를 지식서술 위키하고 같은 것으로 봐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듭니다. 3번의 경우는, 충분한 수준의 자금을 모으기 위해 패트론 모금 등의 기부 방법을 백업으로 둘 예정이기에 아마 제가 수입이 없어지더라도 폐지 등 관련 개정을 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Senouis (토론)이 서명을 하지 않고 의견을 썼기 때문에 나중에 설명을 추가하였습니다.
- 수정해 봤습니다.
- 1의 경우 이익이 생길 정도로 주지만 않으면 제한적으로나마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걸 위해 한 사람이 1년간 받을 수 있는 액수에 충분한 제한을 걸면 될 것입니다. 2의 경우 리버티게임 같은 창작 위키를 지식서술 위키하고 같은 것으로 봐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듭니다. 3번의 경우는, 충분한 수준의 자금을 모으기 위해 패트론 모금 등의 기부 방법을 백업으로 둘 예정이기에 아마 제가 수입이 없어지더라도 폐지 등 관련 개정을 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Senouis (토론)이 서명을 하지 않고 의견을 썼기 때문에 나중에 설명을 추가하였습니다.
단계 | 조건 | 보상 |
---|---|---|
1 | 20명 이상 '죽여준다' 평가 | 5천원 |
2 | 특집 게임 후보 선정 (자기 자신이 선정하는 것은 안됨) | 1만원 |
3 | 특집 게임 선정 | 2만원 |
--Cheongseong9473 (토론) 2020년 7월 1일 (수) 15:33 (KST)
자매결연 위키인 리버티책과의 연계
- 일단 첫 번째로 '저장 기능이 없는 RPG 또는 도시탐방 게임'은 문학으로 나갈 것 입니다. 그 중 꽤 퀄리티가 높은 것은 탐방 보고서나 관광 가이드로 만들고 게임에 저장 기능을 추가하면 보완할 수 잇을 것이며, 퀄리티가 낮은 양산형 도시탐방 또는 RPG는 책으로 만들거나 책을 만들 가치가 없는 것은 그냥 삭제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두 번째. 선택지가 거의 없는 어드벤처 게임(갈림길 당 선택지 평균 3개 이내 또는 갈림길 10개 이내)는 책으로 만들 것입니다.
- 세 번째. 리버티게임에서 충분히 인지도가 높은 게임(명작, 특집 게임)들은 선택지를 줄여 책으로 만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Cheongseong9473 (토론) 2020년 6월 29일 (월) 17:56 (KST)
- 참고로 리버티게임과 리버티책을 통틀어 '리버티미디어프로젝트'라고 지칭하기로 했습니다. --Cheongseong9473 (토론) 2020년 6월 30일 (화) 18:38 (KST)
찬성합니다. --Regurus (토/기) 2020년 6월 30일 (화) 20:07 (KST)
- '리버티프로젝트' 좋네요. --Cheongseong9473 (토론) 2020년 7월 1일 (수) 13:00 (KST)
- 제 글에 답변하는데, 현재 libertyproject.org랑 libertymedia.org는 다른 곳에서 사용 중입니다. 따라서 만약 전용 url을 만든다면 libertymediaproject.org로 해야 할 것 같네요. --Cheongseong9473 (토론) 2020년 7월 2일 (목) 15:39 (KST)
- 그냥 libertygame.org이나 libertybook.org처럼 개별적으로 만드는 게 낫지 않을까요. 굳이 통합 url을 만들 필요까지야... — Malgok1 (토론·기여) 2020년 7월 2일 (목) 18:54 (KST)
게임 제작을 돕고 피드백하는 공간 신설
찬성 제가 현재 활동하고자 하는 방향과 일치하네요. --Senouis (토론) 2020년 7월 1일 (수) 01:19 (KST)
찬성 사실상 오락실이나 사토 등지에서 처리하고 있는 기능이기는 하지만, 이름공간이 활발히 쓰일 수만 있다면 좋은 정책이라고 보여집니다. — Malgok1 (토론·기여) 2020년 7월 1일 (수) 09:33 (KST)
찬성 게임을 만들고 싶어하는 신규 유저들의 정착을 도와줄 것 같습니다. --Cheongseong9473 (토론) 2020년 7월 1일 (수) 15:34 (KST)
찬성 동의. 항상 새로운 장르를 시도하는(?) 제작자의 입장에서 말하자면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파악해야 성공적인 게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Js091213 (토론) 2020년 7월 2일 (목) 19:10 (KST)
그러면 공간 이름은 어떻게 정할까요?--Regurus (토/기) 2020년 7월 3일 (금) 21:19 (KST)